블랭킹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장 메커니즘과 금형공구강 특성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냉간가공 금형공구강으로 적합한 강재를 선택하려면 고장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블랭킹 할 때 점착마모, 치핑과 마손 등의 문제가 흔히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재료가 부드럽기 때문에 공구 표면에 달라붙는 경향이 있지만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경화되면서 응력이 높아져 치핑 과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형공구강을 선택할 때 생산 단위와 공작물의 두께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내점착마모성과 내치핑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택하여 줄일 수 있습니다.

Vanadis 4 Extra SuperClean 과 Vancron SuperClean과 같은 SuperClean 분말강은 특히 가동 시간이 긴 경우에 적합합니다. ASSAB 88, Caldie, Calmax는 가동 시간이 짧거나 중간 정도 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초고장력 강판(AHSS)

고장력강판을 가공하기 위한 금형공구에는 경도와 인장 강도는 내마모성, 내치핑성, 내균열성이 우수한 재료를 필요로 합니다. 더군다나 초고장력강판용 금형 공구에서는 현용되는 초고 사양의 마텐자이트계 강재가 요구됩니다.

고장력강판과 초과장력강판에 대한 블랭킹에 우수한 성능이 필요한 경우 Vanadis 4 Extra SuperClean 또는 Vancron 40 SuperClean과 같은 ASSAB 분말강을 선택하십시오. ASSAB 88과 Caldie도 일반적인 냉간가공 금형공구강보다 성능이 탁월합니다.

 

저탄소강

경도가 낮은 탄소강을 블랭킹 할 때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산 단위, 두께, 생산 중인 부품의 복잡한 형상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저탄소강 블랭킹에 대부분의 금형공구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전체 생산비를 고려하여 금형공구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공 재료의 두께가 늘어나면 치핑 위험이 증가합니다. 공구와 가공 재료 사이의 국소 용접 위험도 증가하여 점착마모 또는 마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공물의 두께가 증가하면 더불어 펀치가 취출될 때 가해지는 힘도 증가하므로 크랙위 위험이 증가합니다. SuperClean 분말야금강처럼 탄화물이 매트릭스 내에 잘 분포되어 있고 청결도가 높은 금형공구강을 선택하십시오.

 

ASSAB 88
ASSAB DF-3
ASSAB PM 23 SuperClean
ASSAB PM30 SuperClean
ASSAB PM60 SuperClean
ASSAB XW-42
Caldie
Calmax
Unimax
Vanadis 4 Extra SuperClean
Vanadis 8 SuperClean
Vancron SuperClean
Please use a browser that is not outdated.

You are using an outdated web browser.

Errors may occur when using the website.